Linux

Linux 네트워크 netstat

yul_S2 2023. 2. 19. 19:06
반응형

| netstat 네트워크 상태확인

network statistics의 줄임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나 프로토콜 상에서의 통계를 보여주는 소프트웨어 혹은 도구이다.

대체로 네트워크의 상태 및 성능을 측정하고 네트워크 상의 문제점을 파악할 때 많이 쓰인다.

 

netstat [옵션] [| grep 포트 번호 or 서비스 명]

  • -l (listen) : 연결 가능한 상태
  • -n (number port) : 포트 넘버
  • -t (tcp) : tcp
  • -u (udp) : udp
  • -p (Program name / PID) : 프로그램 이름 / PID. 어떤 프로세스에서 해당 통신을 사용하고 있는 지를 보여준다.
  • -a (all) : 모두. ESTABLISHED 뿐만 아닌 모든 State에 대한 소켓들의 정보를 보여준다
  • netstat 옵션은 주로 -lntup를 쓴다.

 

 

더보기
netstat -l

  • Proto : 해당 통신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 Recv-Q , Send-Q : 해당 통신이 사용할 때 소켓 사이즈 버퍼를 의미하며 Recv-Q의 경우 recv()를 - 통해 처리 받지 못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Send-Q의 경우 send()를 통해 보냈지만 아직 완전하게 외부로 보내지지 않은 데이터의 크기를 의미한다.
  •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 말 그대로 해당 통신에서 나가는 내 주소와 목적지에 해당하는 주소를 의미한다.
  • (state) : ESTABLISHED, LISTEN과 같은 상태를 나타낸다.

** 포트

서버에 열린 문을 의미하며 숫자로 표현된다. 

IP를 타고 서버에 접속 할때는 여러 포트가 있다.

 

** TCP & UDP

TCP: 속도↓, 상호 통신(신뢰성↑), 질의응답 o, stream
UDP: 속도↑, 일방 통신(신뢰성↓), 질의응답 x, datagram(dgram)

 

 

 

 

 gz 압축풀기 

gzip -d {압축 파일명}.gz 

→ gzip으로 압축을 푸는 옵션으로 -d 를 주면 된다. 

   -d는 decompress의 줄임 표현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