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doit
데이터 에듀 ADsP 02.데이터분석기획 본문
4. 다음 중 성공적인 분석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요서로 가장 부적절한것은?
X->원점에서 솔루션 탐색
O->관련데이터의 파악, 비즈니스 케이스 확보, 이행 저해 요소관리
**
분석의 기본이 되는 데이터에 대한 고려필요
적절한 활용방안 필요
활용가능한 유즈케이스 탐색 필요
발생하는 장애요소들에 대한 사전계획 수립 필요
**
7. 기업에서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요소들로 구성된것은?
O 플레이밍 효과, 고정관념, 편향된사고
11.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의 채널에 대한 기능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
X-> 해당 고객에게 접근하는 유통 채널을 공급한다
O-> 고객에게 밸류 프로포지션을 전달한다. 에프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이해를 높여준다.
**
채널은 기업이 고객세그먼트에게 가치를 제안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상품이나 서비스를 전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커뮤니케이션, 물류, 판매채널 등 기업과 고객의 인터페이스 전반이 채널이다.
**
13. 하향식 접근 방식의 타당성 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것
X-> 데이터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문제발생 포인트에 대한 데이터 확보가 중요하다.
O-> 도출된 분석 문제에 대한 대안을 과제화하기 위해서는 다각적 타당성검토가 필요
O->경제적 타당성은 비용대비 효익의 관점에서 평가한다.
O->기술적 타당성 분석시 적용가능한 요소기술 확보 방안에 대한 사전 고려가 필요하다.
** 데이터 존재여부, 분석시스템환경, 분석역량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문제팔생포인트 X **
17. 분석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설명으로 부적절한것은?
X-> 분석 프로젝트 일정계획 수립시 데이터 수집에 대한 철저란 통제와 관리가 필요하다.
O-> 품질평가하기 위해서 SPICE를 활용할수있다.
O-> 관리는 KSA ISO 21500:2013 가이드를 활용한다.
O-> 최종산출물이 보고서인지 또는 시스템인지에 따라 프로젝트 관리에 차이가 있다.
19. 분석준비도의 분석데이터의 진단항목으로 부적절한것은?
X-> 내부데이터 집중활용체계 >> 외부(O)
O-> 분석 업무를 위한 데이터 충시렁, 신뢰성, 적시성
O-> 기준데이터관리 MDM
O-> 비구조적 데이터관리
22. 과제중심적인 접근방식 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못한것은?
X-> Accuracy&Deploy >> 장기적인 마스터 플랜방식에 해당함
O-> Quick-Win
O-> Problem Solving
O-> Speed&Test
26. 분석마스터 플랜 수립에서 과제 우선순위 결정과 관련한 내용으로 부적절한것은?
X-> 가치는 투자비용 요소이다 >> 비즈니스효과 요소이다. / 투자비용요소:크기,속도, 다양성
O-> 전략적 중요도, ROI, 실행용이성은 분석과제 우선순위 결정에 고려할 사항이다.
O-> 시급성고 전략적 필요성은 전략적 중요도의 평가요소이다
O-> 적용 기술의 안전성 검증은 기술용이성의 평가요소이다
**
과제 우선 순위 평가기준
1. 전략적 중요도
- 전략적 필요성 : 전략적 목표,, 본원적 업무에 대한 직접적인 연관관계가 밀접한 정도, 위험 및 손실에 대한 정도
- 시급성 : 사용자 요구사항, 업무능률 향상 위한 시급성정도, 향후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중요성 정도
2. 실행용이성
- 투자용이성 : 기간 인력 투입 용이성, 비용 투자예산 확보 가능성 정도
- 기술용이성 : 적용기술의 안정성 검증정도, 응용시스템 H/W 유지보수 용이성 정도, 개발스킬 성숙도 신기술 적용성 정도
**
27. 분석 마스터 플랜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X-> 분석 과제 로드맵은 과제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작성하되 과제별 선후관계를 감안하여 반복이 없는 계획을 작성
>> 단계별 추진 내용을 정렬한다.
O-> 비즈니스 효과인 시급성과 투자비용 요소인 난이도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O-> 분석과제도출 우선순위결정, 중장기 마스터플랜, 수립과제 도출 순으로 된다
O-> 과제별 데이터 분석 체계는 폭포수 방식도 있으나 반복적인 정련과정을 통하여 과제의 완성도를 높이는 방식 많이사용한다.
30. 기업에서 변화를 수용하기 위한 중장기적 대응 방안으로 거리가 먼 것은?
X-> 데이터 분석 도구 기반의 교육
O-> 분석 조직 및 인력에 대한 교육과 훈련
O->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문화 정착
O-> 분석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계획 및 시행
**
분석 조직 및 인력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고 사실기반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문화를 정착시키고자했다.
분석 교육의 목표는 단순한 툴 교육이 아닌 분석역량을 확보하고 강화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한다.
**
33. Self Service Analytics 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것은?
X-> 상업용뿐만 아니라 OSS(Open Service Software)로도 구현되고,
분석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분산처리도 지원하고있다.
O-> 포함되어야 하는 주요기능은 BI도구 Ad hoc Report, OLAP, Visual Discovery, MachineLerning등
O-> 성공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Reference Method 작성 및 공유, 표준데이터활용, 데이터 거버넌스, 도구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O-> 수행하기위해서는 R, Python 등의 데이터 분석 언어와 많은 통계적 지식을 밀요로 한다.
34. ★Servitizatio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것은?
X-> 생산된 제품의 특화를 통한 경쟁우위 확보 모델
O-> Service Sceience 의 하나로 제품과 서비스의 결합을 통한 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O-> 제품의 서비스화와 서비스의 상품화를 모두 포함하는 결합 비즈니스 모델
O-> 파이프 라인 비즈니스를 넘어 플랫폼 비즈니스를 위한모델
**
Servitization 은 제품의 서비스 결합, 서비스의 상품화, 기존서비스와 신규서비스의 결합 현상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
35. 분석방법론의 분석기획 단계에서 프로젝트 위험 대응 계획을 수립할 때 예상되는 위험에 대한 대응 방법
X-> 관리
O-> 회피
O-> 완화
O-> 수용
** 회피, 전이, 완화 , 수용 (회전완수) **
38.
사전 영향 평가
40. 분석 모델을 가동중인 운영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델에 대한 상세한 "알고리즘 설명서"작성이 필요하다.
"알고리즘 설명서"는 시스템 구현단계에서 중요한 입력자료로 활용되므로 필요시 ( ) 수준의 상세한 작성이 필요하다.
>> 의사코드
41.★ 분석과제 관리 프로세스는 크게 과제발굴과 ( ㄱ ) 으로 나누어진다. 조직이나 개인이 도출한 분석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이릉 과제화하여 분석 과제 풀(Pool)로 관리하면서 분석 과제가 확정되면 (ㄴ),(ㄷ) , 분석과제 결과 공유/개선의 분석과제 관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게된다
>> ㄱ : 과제수행 , ㄴ,ㄷ : 탐구성, 분석과제 실행, 분석과제 진행관리
42.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는 데이터 저장소는 메타데이터 및 표준데이터를관리하기 위한 전사차원의 저장소로 구성된다. 저장소는 데이터 관리 체계 지원을 위한 (ㄱ) 및 관리용 응용소프트웨어를 지원하고 , 관리 대상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제가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데이터 구조 변경에 따른 (ㄴ) 도 수행되어야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 ㄱ: 워크플로우 ㄴ: 사전영향평가
43.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는 9가지 블록을 단순화하여 (ㄱ),(ㄴ),고객단위로 문제를 발굴하고 이를 관리하는 규제와 감사, (ㄷ) 영역으로 나눠 분석 기회를 도출한다.
>>ㄱ : 업무 ㄴ: 제품 ㄷ:인프라
45. 합리적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요소로써 표현방식 및 발표자에 따라 동일한 사실에도 판단을 달리하는 현상
>>플레이밍효과
49. 소프프웨어와 시스템공학의 역량 숙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모델로 소프트웨어 품질보증과 시스템 엔지니어링 분야의 품질보증 기술을 통합하여 개발된 평가모델로 1~5단계로 구성된 성숙도모델은?
>> 능력 성숙도 통합모델( CMMI )
50.
>> ISP (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
'ADsP > 오답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sP 모의고사 2회 (0) | 2022.10.18 |
---|---|
ADsP 모의고사 1회 (0) | 2022.10.18 |
데이터에듀 ADsP 03.데이터분석 (0) | 2022.10.17 |
데이터 에듀 ADsP 03.데이터분석 (0) | 2022.10.17 |
데이터 에듀 ADsP 01.데이터의 이해 (0) | 2022.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