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Linux (39)
59doit
| sort 정렬 sort는 명령어 출력 혹은 파일 내용을 정렬 하는데 사용한다. sort [-옵션] [-o 저장될 파일명] 정렬할 파일명 [병합할 파일명] -b : 앞 공백 무시 -o : 저장할 파일 명시 -r : 역순으로 표시 -f : 대소문자 구분 하지 않음 -t : 필드 구분자 지정 -u : 중복행 제거 -m : 정렬 파일 병합 -n : 숫자만 비교 열이 한개일때 sample.txt 파일내용이 3 1 5 9 7 일때 더보기 sort sample.txt → [결과] 1 3 5 7 9 열이 여러개일때 sample.txt 파일내용이 3 f 1 b 5 a 9 c 7 e 더보기 sort +1 sample.txt → 두번째 열 기준으로 정렬 [결과] 5 a 1 b 9 c 7 e 3 f

| awk 패턴 탐색 처리 패턴 탐색과 처리를 위한 명령어로 간단하게 파일에서 결과를 추려내고 가공하여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명령어이다. GNU 프로젝트에서 만들어진 텍스트 처리 프로그래밍 언어로 유닉스 계열의 OS에서 사용 가능하며, 텍스트 형태로 되어있는 입력 데이터를 행과 단어 별로 처리해 출력한다. 더보기 → 명령어로 출력되는 내용중에 원하는 필드만 표시 sample 이라는 txt 파일에서 내용 추출 파일 내용을 추출하여 원하는 필드만 표시 더보기 cat sample.txt → [결과] ko 한국 12 yul 율 24 vely 블리 33 hello 헬로 55 vely 를 포함하는 라인 추출하여 표시 더보기 awk '/vely/' sample.txt → [결과] vely 블리 33 공백 기준으..
| du 명령어 디스크 용량을 특정 디렉토리/파일 현재 디스트 용량을 특정 디렉토리, 파일 단위별로 확인 할 수 있다. du (옵션) [파일명 혹은 폴더명] -s, --summarize : 하위 디렉토리는 합쳐서 전체 용량만 출력한다. -a : –all. 모든 파일과 모든 하위 디렉토리도 출력한다. -c : –total 마지막 줄에 합계를 출력한다. -k : 출력 숫자의 단위를 1kbyte 로 지정한다. -x : –one-file-system. 현재 파일시스템의 파일 사용양만 출력한다. 더보기 du -ks * du -ks -h * → 현재 디렉토리 내용을 쉽게 볼 수 있다.
| df 디스크 용량을 파티션별 현재 디스트 용량을 파티션별로 확인할 수 있다. df [옵션] [파일시스템] -a, –all : 모든 파일 시스템을 대상으로 점검한다. 더미 파일 시스템으로 크기가 0인 것도 모두 보여준다. 어떤 시스템에서는 ignore 또는 auto 파일 시스템이 초기값으로 생략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이 옵션을 사용한다. -l / –local : 지역 파일 시스템만 **-h / –human-readable **: 사람이 읽기 편한 단위로 -i, –inodes : 파티션별로 디스크사용량 점검 시에 블록 사용 정보 대신에 inode 사용 정보를 표시한다. inode란 특별한 종류의 디스크 블록인데, 이것은 파일이름, 소유주, 권한, 시간정보, 디스크에서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