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Programming (97)
59doit
인덱싱 a=[1,2,3] print(a) # [1, 2, 3] a[0] # 1 a[1]+a[2] # 5 a[-1] # 3 b=[1,2,3,['a','b','c']] b[0] # 1 b[1] # 2 b[3] # ['a', 'b', 'c'] b[-1][0] # 'a' b[3][1] # 'b' c=[1,2,3,['a','b','c',['de','fg']]] c[3][3][1] # 'fg' c[3][3][0] # 'de' 슬라이싱 a = [1,2,3,4,5] a[0:5] # [1, 2, 3, 4, 5] a[:5] # [1, 2, 3, 4, 5] a[:2] # [1, 2] a[5:0] # [] a[5:] # [6] a[-1:] # [5] a[x:] ▶ (0부터시작하는)x번째자리에서 끝까지 [6] a[-1:] ▶ ..
count : 찾는 문자의 개수 출력 a = "happy" a.count('p') # 2 find() : 찾는 문자가 몇번째 자리에 있는지 ★없으면 -1로 출력된다 a = "python is the best choice" a.find('e') # 12 a.find('c') # 19 a.find('j') # -1 index() : 찾는 문자가 몇번째 자리에 있는지 ★없으면 Error a="life is too short" a.index('o') # 9 a.index('j') # ValueError: substring not found 문자열 삽입 기본과 리스트or튜플 응용하기 ",".join('abc') #'a,b,c' ",".join(['a','b','c']) #'a,b,c' upper() : 대문자로바..

포맷팅 : % 문자를 사용해서 원하는 형식으로 포맷팅하는 방법이다. ' % + 자료형 종류 ' % 값의 형식으로 사용 a="i eat %d apples" % 3 print(a) # i eat 3 apples b="i eat %s apples" % "six" print(b) # i eat six apples number = 3 c = "i eat %d apples." % number print(c) # i eat 3 apples. number = 4 day = "three" d = "i ate %d apples. so i was sick for %s days." % (number, day) print(d) # i ate 4 apples. so i was sick for three days. 포맷팅활용 er..
문자열 위치 index str= "hi. nice to meet you mina and yuna." index = str.index("n") print(index) # 4 "n" 이라는 글자의 위치를 띄어쓰기 포함 하여 알려준다. 파이썬은 인덱싱이 0부터 시작이므로 n이 다섯번째에 있어서 결과값은 4가 나온다 str= "hi. nice to meet you mina and yuna." index2 =str.index("n",index+1) print(index2) # 23 str의 "n"을 찾는데 찾는값인 n의 index+1 은 n이 두번째로 있는 위치값을 찾아준다. find str= "hi. nice to meet you mina and yuna." print(str.find("hara")) # -1 ..